1. 변수와 자료형
Variable(변수) : 프로그램에서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이름이 주어진 기억장소
DataType(자료형) :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자료의 형태를 자료형이라고 한다.
ex) 10, -15 : 숫자, 안녕하세요 : 문자
자바스크립트의 기본 타입은 크게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.
1) 숫자(number): 숫자형으로 정수와 부동 소수점, 무한대 및 NaN(숫자가 아님)등
2) 문자열(string): 문자열
3) 불리언(boolean): true, false
4) 심볼(symbol) : 심볼은 변경 불가능한 원시 타입의 값이며, 다른 값과 중복되지 않는 고유한 값이다.
ECMAScript 6부터 제공됨
5) undefined: 값을 할당하지 않은 변수가 가지는 값
6) 널(null): 빈 값을 표현
객체 타입(object type)은 다음과 같다.
7) 객체(object)
예제
var num = 10; // 숫자
var myName = "홍길동"; // 문자열
var str; // undefined
2. 변수 선언
- 변수이름은 대소문자를 구별
- 여러 변수를 한번에 선언할 수 있음
- 지역변수와 전역변수가 있음
- 기본적으로 소문자로 시작되는 Camel Case 를 사용
var firstNumber;
firstNumber = 10;
var, let, const
ES6 이전에는 var 만 존재했으며 function-scoped 로 인해 다른 언어들과 다른 문제가 있었음
- var는 지역변수 개념으로 함수 범위에서 유효함
- var를 선언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전역변수가 됨
- let과 const 는 ES6 에서 등장한 block-scoped 변수 선언
- let은 값의 재할당이 가능하고(mutable) const는 불가능(immutable)
- const로 선언된 배열이나 객체의 경우 새로운 객체로 재할당하는 것은 안되고, 배열값의 변경/추가, 객체의 필드 변경등은 가능
다음은 var를 이용한 변수선언 예이다.
var foo = 'foo1';
console.log(foo); // foo1
if (true) {
var foo = 'foo2';
console.log(foo); // foo2
}
console.log(foo); // foo2
다음은 let과 const을 사용한 예이다.
let foo = 'foo1';
const bar = 'bar1';
console.log(foo); // foo1
if (true) {
let foo = 'foo2';
console.log(foo); // foo2
console.log(bar); // bar1
}
console.log(foo); // foo1
bar = 'bar2'; // error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스크립트_로또 당첨 알고리즘 만들기 (0) | 2022.02.15 |
---|---|
자바스크립트 기초(배열) (0) | 2022.02.11 |
자바스크립트 기초(함수) (0) | 2022.02.11 |
자바스크립트 기초(조건문, 반복문) (0) | 2022.02.10 |
자바스크립트 기초(연산자) (0) | 2022.02.10 |